잡문/기타 잡문2017. 7. 7. 23:26
수다스러울 수 있을까
술자리를 갖거나, 밥을 같이 먹을 때 사람들이 말하는 모습을 관찰해본 경험이 있으신지? 사람들은 모두 자신만의 대화패턴을 갖고 있다. 어떤 사람은 애시당초 얘기하는 걸 포기하고 가만히 듣고만 있는다. 평소에 말이 많은 사람인데도 그 자리에서 얘기하기 싫어 말을 안하는 사람도 있고, 원래 말 하는 걸 즐겨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어떤 사람은 항상 대화 주제가 정해져 있다. 시험, 공부, 여행, 육아, 주식과 부동산, 게임 등등. 항상 같은 주제만 건드리며 얘기하면 지루하기 때문에 평소 얘기하는 3~4가지 주제를 잡고 돌아가면서 이야기를 한다.

아예 가볍게 웃고 떠드는 걸 목적으로 삼은 사람도 있다. 일본에선 이런 사람을 두고 '텐션이 업됐다.'라고 하는데, 이런 사람들은 주로 분위기 메이커가 되기 때문에 그 사람에 맞춰서 다른 사람들도 함께 텐션을 올리지 않으면 그 자리에서 적응하기가 어렵다. 평소처럼 진지한 대화라던가 부드러운 대화 템포를 유지하려고 하면 혼자서 시건방 떠는 것 같아서, 괜히 들뜬 목소리를 내야 괜찮아진다. 자연히 술도 많이 마신다. 

나도 가끔은 이런 사람이 되곤 한다. 격 없는 친구들과 술자리를 가졌을 땐 이런 행동을 취하기 쉽다. 괜히 농담 한 번이라도 더 하고 싶어지고, 손짓도 더 커진다. 반대로 전혀 반대의 사람이 될 때도 있다. 애시당초 술을 마시고 싶지 않은데 술자리에 끌려와서 술을 마실 때 특히 그렇다. 분위기를 뭉개는 사람이 된 것 같은 경험은 몇 번 해봤다. 그런 경험을 해보고 나니, 도저히 기분이 나지 않을 때엔 온 힘을 다해서 연기를 해야 한다. 즐거운 것처럼. 

가끔 엄청 말을 잘하는 사람을 만날 때가 있다. 물론 앞서 말한 텐션 업이 된 사람 중 말이다. 나도 텐션 업 되지 않은 상태에선 계속 말할 자신이 있다. 텐션 업 상태에서 말을 잘하려면 끊임없이 대화의 화제를 취사 선택해야 한다. 게다가 자신이 고른 대화 소재가 분위기를 박살내지 않을 자신이 있어야 한다. 난 이게 참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떤 사람들은 정말 마구잡이로 대화를 지휘한다. 

술자리나 밥먹는 자리에선 보통 눈 앞에 있는 음식이 첫 번째 대화 소재가 되는 것 같다. 이런 음식을 맛있게 먹으려면 어떻게 먹어야 한다느니, 자신이 다른 장소에서 먹어봤던 음식 경험을 나누기도 한다. 메뉴를 고를 때도 유쾌하게 입담을 털 수 있다. 그렇게 가장 쉬운 대화 소재를 요리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다른 주제로 넘어간다. 자연스럽다는 말은 대화와 대화 사이에 침묵이 3초 이상 허용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대부분의 침묵이 음식을 오물 거리는 시간이라는 걸 생각하면 사실 상 침묵은 없다. 끊임없이 재잘거린다. 

말 잘하는 사람 옆에 앉으면 묘하게 권력이 느껴진다. 한 테이블에 6명 정도 앉아 있으면 보통 6명이 다 같이 한 대화에 집중하기 쉬워진다. 7명을 넘기는 순간 갑자기 3명, 4명이 짝을 이루지만. 6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단 한 명의 목소리에 집중할 때, 거기엔 권력이 있다. 대화의 주도권은 보통 2명에서 3명 정도에게 집중된다. 나머지 3~4명은 그들의 이야기를 거들 뿐, 주도적으로 대화 주제를 결정할 역량이 없다. 아니, 애초에 함부로 주제를 꺼냈다간 분위기가 폭삭 가라앉을 위험이 있다. 텐션이 업된 대화엔 그만큼 거품이 가라앉을 긴장감이 흐른다. 

물론 긴장감이 흐른다는 건 관찰자 입장에서 느끼는 감정이겠지. 주도적으로 대화를 이끌어나가는 입장에선 이런 술자리가 끝나는 게 참 아쉬울 게다. 어떤 긴장감 같은 게 있었다는 것마저도 잊고 있었을 수 있다. 그건 꽤 괜찮은 기분 아닐까. 


'잡문 > 기타 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모 있는 일  (0) 2017.07.16
영화 '옥자'를 보며 들었던 생각  (0) 2017.07.09
생각하는 것  (0) 2017.07.05
여행 가고 싶다.  (0) 2017.07.01
내려오는 건 무릎이 아프더라  (0) 2017.06.28
Posted by 스케치*
독서/시, 에세이2017. 7. 6. 23:46

저자 : 무라카미 하루키 / 옮긴이 : 권남희
출판사 : 비채
초판 1쇄 인쇄 : 2013년 5월 10일 

1. 인상깊었던 구절과 느낌. 

문득 생각났는데 세상에는 종종 '후렴이 없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하는 말 한마디 한마디는 얼핏 옳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전개에 깊이가 없다고 할까, 미로 속으로 들어가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고 할까...... 그런 사람과 만나 얘기를 나누면 여지없이 녹초가 되고 피로도 의외로 오래간다. 

하루키가 쓴 후렴이란 표현이 참 묘하다. 정말 그런가? 세상에 '후렴이 없는 사람'이 있는 것을 신기하다 여기는 걸 보면 주변 많은 사람들은 '후렴이 있는 사람'이란 거 아닌가. 

후렴이란 게 뭘까. 그 사람이 항상 보여주는 반복된 행동 패턴? 그 사람이 평소 갖고 있으며 바뀌지 않는 어떤 신념이나 가치관? 그 사람의 삶의 목표? 

중학교 혹은 고등학교 시절에 난 이 '후렴'이란 부분을 느끼고 있었다. 학교 친구들을 보면 신기할 정도로 각자의 후렴이 있었으니까. 이 친구는 이럴 때 꼭 이렇게 행동할 것 같다거나 하는 것. 평소에 이 친구를 볼 때마다 '그래, 이 친구는 원래 이런 생각을 갖고 있으니까.' 같은 것 말이다. 당시 난 나 스스로를 관찰하면서 '난 후렴이 없는 것 같아.'라고 생각했다. 나만이 갖고 있는 어떤 특성이나 매력 같은 게 없다는 느낌이 들었고, 나는 뭔지 모르게 생각도 쉽게 바뀌고 행동도 쉽게 바뀌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나이가 들면서 나름 후렴 있는 척을 하다보니 조금은 나아졌지만. 여전히 난 후렴 부분이 맹하게 빠진 느낌이 든다. 나 혼자 그런 생각을 하는 걸지도 모르겠지만. 

신기하게도 이탈리아의 파스타는 맛있다. "당연하잖아, 그게 어째서 신기해?"라고 반문할지도 모르지만, 왜냐하면 이탈리아의 이웃 나라들에서 먹는 파스타는 하나같이 맛이 없기 때문이다. 국경을 넘기만 하면 파스타가 갑자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맛이 없어진다. 국경이란 이상한 것이다. 그래서 이탈리아로 돌아오면 그때마다 '오, 이탈리아는 파스타가 맛있구나'하고 새삼 절감한다. 생각건대, 그런 '새삼 절감하는' 한 가지 한 가지가 모여 우리 인생의 골격을 형성해가는 것 같다. 

하루키의 이 주장은 내가 경험해보지 않아서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이탈리아 본토로 가본 경험이 없고, 프랑스나 몰타 같은 곳에서 먹은 파스타가 그다지 나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영국은 최악이었다.) 이탈리아에 가서 파스타를 먹었을 때 하루키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괜히 설렌다. 

어떤 것을 절감하는 것이 모여 인생의 골격이 된다는 표현도 참 재밌다. 여기서 하루키가 말하는 '인생'이라는 건 어떤 '인생'을 얘기하는 걸까. 과거, 현재, 미래 3단계로 나눠서 본다면 보통 어느 시점을 말하는 걸까? 가장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건 아무래도 과거일테지. 내가 살아오면서 느낀 감상과 인상들은 결국 어떤 '절감'이 모인 것일테고, 그것을 모아서 본다면 인생이라고 느낄 수 있을테니까. 하지만 이게 현재의 인생이나 미래의 인생까지도 이런 '절감'이 결정한다고 한다면 흥미롭다. 절감하는 순간, 그것이 가치관이나 사고관으로 모이게 될 테고, 이를 통해 인생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일까. 

서른이 되기 직전에 아무런 맥락도 없이 문득 '소설을 쓰자'는 생각이 들어 쓴 것이 공교롭게 한 문예지에서 신인상을 받았다. 그래서 내게는 습작이라는 것이 없다. 처음부터 전부 그대로 '상품'이 되었다. 그때는 '뭐 그런 거지'하고 마음 편하게 받아들였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뻔뻔스러운 일이었다. 

맞습니다. 하루키씨. 당신 참 뻔뻔하네요. 

2. '저녁 무렵에 면도하기' 3줄 평 
- 하루키는 생각하건데 소설가라기보단 음악평론가같다. 이런 사람이 유명한 소설가가 되다니. 
- 하루키 수필은 언제나 옳다. 참 좋다. 
- 당신 말이 맞아요. 하루키 씨, 당신 참 뻔뻔하네요. 


Posted by 스케치*
잡문/기타 잡문2017. 7. 5. 23:54
생각하는 것 
너무나 놀랍도록 느끼는 것은 사람마다 참 너무나 다르다는 것이다. 그 관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이 같은 사건을 통해서 반응하는 형태가 참 다르다. 너무나 뻔하고 너무나 그 대답이 당연한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 그 사람이 보이게 되는 행태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취하게 된다. 이전에 그 사람이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에 따라서 나는 그 사람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 상상을 하게 되고, 그 상상은 보통 내 상상의 모습을 취한다. 물론 그 사람이 내 상상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다른 모습을 취할 땐 당황하게 된다. (당황한다고 해서 특별히 다른 행동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만) 



'잡문 > 기타 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옥자'를 보며 들었던 생각  (0) 2017.07.09
수다스러울 수 있을까  (0) 2017.07.07
여행 가고 싶다.  (0) 2017.07.01
내려오는 건 무릎이 아프더라  (0) 2017.06.28
오래된 물건에 대한 집착  (0) 2017.06.24
Posted by 스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