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문/기타 잡문2017. 12. 30. 23:51
나의 범주 
관념론을 배제하고, 내가 갖고 있는 신체가 '나'라는 존재라는 것이 증명 가능하다고 한다면, 나라는 신체의 범주는 어디까지일까? 내 몸에선 1초에도 엄청난 수의 각질이 떨어져 나가고 있다. 하루에도 수십 가닥의 머리카락이 빠져나가고, 매일 새로 자라나는 털과 손톱 발톱을 잘라나간다. 라식 수술을 한다고 병원에 가면 나의 가장 연약하면서용감하게 바깥으로 돌출된 부위마저 잘라버린다. 나라는 존재가 잘려져 나간 것에 대한 슬픔 때문인지 아니면 단지 신경세포의 자극 때문인지는 몰라도 상당한 시간 동안 아파한다. 

만일 내가 내 손이나 발을 잘라버린다면 어떨까? 내 손이나 발은 손톱이나 발톱과는 달리 실제로 내가 '나'라는 존재를 의식하는 부분이다. 평소 살아가면서 내가 손이나 발을 보면서 나라는 존재와 함께 공존 혹은 공생하는 부위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이 완전히 몸에서 떨어져 나갔을 때 (정확히는 뇌와 연결되는 신경이 완전히 끊겨버렸을 떄) 나는 내 손과 발을 보며 나라는 존재를 의식할 수 있을까? 

내장은 미묘한 부위이다. 얼마 전 '미생물 인간'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보니 미생물이 우리 신체 안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내장 안에서 미생물의 분포와 종류가 어떻느냐에 따라 사람의 뇌가 기능하는 방식도 달라지고, 사람의 성격에까지도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미생물은 우리 몸에 들어와 일종의 공생하는 기생물의 형태인 것인데, 나라는 존재가 살아가고 생각하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는 어머니에게서 특히 많이 전달받고, 또한 우리가 살아오며 먹는 음식이나 노출되는 환경에 따라 변하게 된다고 한다. 우리가 우리의 미생물을 건강하게 하는 음식(예를 들어, 양파나 마늘 등)을 먹고, 유익한 미생물들이 잘 성장할 수 있게 하는 환경(깨끗한 자연 환경)에서 자란다면 신체 미생물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것이 나라는 존재가 살아가고 생각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생물도 나라는 존재에 포함될 수 있을까? 

내가 살아가는 주변 환경이나, 나와 함께 어울리는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나라는 존재와 많은 것을 공유한다. 가끔 내가 혼자 독창적으로 생각해냈다고 여겼던 것이 실은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느끼게 되는 놀라움 같은 것이 있다. 알게 모르게 내가 갖는 생각이나 생활 패턴은 주변에서 영향을 받으며, 나의 생활 양식을 결정한다. 내가 비록 거부할지 모르겠지만, 내 삶의 목표에까지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나라는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정확히는 나의 뇌와 척수까지 이르는 핵심적인 신경세포들을 두고 나라고 지칭할 수 있는가? 아니면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신체 부위까지 나인가? 아니면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신체 부위까지 나인가? 아니면 내 안에서 끊임없이 없어지고 부서지는 부위까지 나인가? 아니면 내 안에서 나에게 영향을 끼치는 미생물까지도 나인가? 아니면 내 밖에서 나에게 영향을 끼치는 주변 사람들인가? 아니면 내 밖에서 아주 간접적이고 서서히 영향을 끼치는 사람들과 환경들까지인가? 애초에, 물질적인 기준으로 나의 범주를 잡는 것이 올바른 기준인가? 


Posted by 스케치*
잡문/기타 잡문2017. 12. 29. 23:23
책을 읽고 포스팅을 하려고 했는데
내가 읽고 느꼈던 것과 사람들의 평가가 너무 다르다고 느낄 때가 있다. 나는 너무 지루하고 재미없어서 어떻게든 그 책을 다 읽는 것만으로도 힘들다고 느꼈는데, 인터넷에 그 책을 검색해보면 하나부터 열까지 칭찬만 쭉 늘어져 있다. 하기야 책이라는 것도 한 사람이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서 써나간 것인데, 그것을 두고 내가 몇 시간에 읽었다고 해서 비난하거나 비판하는 글을 쓰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내가 정말 싫어하는 책들이 몇 권 있는데, 이런 책들도 다음이나 네이버 블로그에선 하나같이 칭찬일색이다. 솔직히 내가 싫어하는 책은 좀 인기가 없었으면 좋겠는데, 꼭 내가 싫어하는 책들은 베스트셀러에서 잘 나가더라. 주변에서 베스트셀러라고 믿고 샀다가 뒷통수 맞는 걸 보면 없던 짜증도 밀려오곤 한다. 

설마 내가 잘못 읽은 건가. 내 독서가 문제였나? 다른 사람들은 다 만족하는데 왜 나만 문제이지? 라는 생각으로 괜히 싫어하는 책을 두 번 읽고 또 다시 후회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좋은 책 두 번 읽기에도 하루가 짧은데. 


'잡문 > 기타 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골목길들 - (1) 합정동 꾸머길  (0) 2017.12.31
나의 범주  (0) 2017.12.30
중독과 자극에 관한 생각  (0) 2017.12.28
음식점에 와서  (0) 2017.12.27
나의 시작은 언제일까  (0) 2017.12.26
Posted by 스케치*
잡문/기타 잡문2017. 12. 28. 23:55
중독과 자극에 관한 생각 
행복하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행복한 삶이란 살면서 끊임없이 행복, 만족, 즐거움의 감정이 넘쳐나는 것을 의미할까? 미국에게까지 큰 영향을 끼쳤던 콜롬비아 마약왕의 일생을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나르코스(Narcos)를 보면서, 대체 코카인이란게 뭐길래 저렇게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꾸는 것일까, 생각을 했다. 

자세히 알아본 것은 아니지만 간단히 말해 코카인이란 뇌 영역 중 동기 부여를 하는 부분에 대량의 도파민을 분비시켜 만족감과 행복감을 부여하는 마약이라 한다. 도파민이라는 물질은 외부에서 들어온 마약물질이 아니라 이미 우리 몸 안에서 감정을 조절하고 운동 신경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경전달 물질이다. 우리가 흔히 일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거나, 섹스를 통해 만족감을 느끼거나, 운동을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모든 과정에서 도파민이 분비된다. 도파민은 뇌 전두엽에 전해져서 우리의 의욕을 샘솟게 하고 두뇌 활동을 증가시키며 커다란 삶의 만족감을 준다. 이 때문에 인간의 행복과 쾌락을 조정하는 물질이기도 한 것이다. 

마약을 통해 도파민을 대량으로 맛보면 문제가 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과도하게 분비된 도파민으로 인해 뇌 안에서 가장 창조적인 영역들은 도파민에 둔감해지고, 도파민의 분비에 적응한다. 이 때문에 일상에서 소소하게 분비되는 도파민은 뇌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더 큰 도파민의 분비를 요구한다. 마약 중독자들이 심각한 우울감과 함께 다시금 마약을 찾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과정 때문이라 한다. 

사실 마약이 달리 있겠는가. 굳이 코카인이 아니더라도 술도 마약과 다름없다. 그 역시 도파민을 자극하여 쾌락을 요구하는 행위이다. 미드 나르코스에 나오는 코카인의 경우 한국에선 구하기도 어렵다. (어딘가 암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런 곳이 있다는 건 굳이 알고 싶지도 않다.) 

몸에 섭취하는 것만이 마약일까. 자극적인 이미지나 포르노, 중독성 있는 모든 매체들 역시 비슷한 매커니즘으로 사람의 도파민 분비를 자극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돌 가수들의 의상이나 춤이 점점 더 자극적으로 변모하고, 영상은 더욱 화려해지는 것도 같은 매커니즘 아닐까? 우리가 즐겨 하는 PC게임이나 모바일 게임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도 어쩌면 같은 맥락에 있지 않을까? 과거 즐겨했었던 스타크래프트도 그 당시엔 굉장히 빠른 속도로 즐기는 게임이었는데, 지금 와서 그 게임을 해보면 유닛들의 이동 속도가 굉장히 느리다고 느낀다. 최근 같은 제작사(블리자드)에서 출시된 오버워치를 해보면 그 엄청난 이동 속도에 엄청난 자극을 느낀다. 처음엔 그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서 눈이 아프고 머리도 아프다고 느끼는데, 어느 순간이 되면 그 정도로 빠른 게임이 아니면 만족감을 느낄 수 없다. 

뇌는 평소에 어떻게 자극을 주냐에 따라 적절한 만족감을 유지하는 항상성이 있다. 대부분의 우리 주변의 매체들은 갈 수록 더 자극적으로 구성되어 간다. 그러나 과거에 살던 사람들에 비해 우리가 더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나? 어쩌면 단지 도파민을 위한 역치 값만 올라간 채로 일상적 자극으론 행복해지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염려될 뿐이다. 


'잡문 > 기타 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범주  (0) 2017.12.30
책을 읽고 포스팅을 하려고 했는데  (0) 2017.12.29
음식점에 와서  (0) 2017.12.27
나의 시작은 언제일까  (0) 2017.12.26
성공하지 못할 일에 대해서  (0) 2017.12.23
Posted by 스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