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문/기타 잡문2017. 9. 15. 23:54
부정 혹은 긍정
새로운 것이 나왔을 때 이걸 부정하는 건 너무 쉽다. '새롭다'라는 사실 만으로도 그건 부정될 수 있다. <새로운 것이 정말 우리 삶에 중요한 것이라면 왜 그것은 진작 세상에 나오지 않았던 것일까? 세상에 똑똑한 사람이 넘치고 넘치는데도 아직 세상에서 보편화된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새로운 것은 나오지 말았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류의 생각이다. 새로운 것을 부정할 방법은 많다. 부족한 기술, 긍정하지 않는 많은 사람들, 그것이 가져올 새로운 불편함과 윤리적인 문제들, 어쩌면 새로움이라는 건 단지 인류애를 망가트리고 우리가 생각했던 소중한 과거를 부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새로움을 거부한다. 새로움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보고서를 쓰는 건 쉽다. 똑똑한 척 하기도 쉽다. 근거는 많다. 인터넷을 찾든 책을 찾든 혹은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묻든 그들은 모두 같은 이야기를 하는데, 이건 어디까지나 그들이 가진 지식과 경험이 과거의 것에서 기반한 것이기 때문이다. 

새롭다는 걸 긍정할 수 있는 건 어디까지나 추측의 영역이다. <굳이> 긍정하기 위해서 어설프기 짝이 없는 조각들을 맞춰나가야 한다. 과학적으로(혹은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쓰이는 귀납적 오류로)는 쉽게 새로움의 필요성을 증명할 수 없다. 이미 만들어진 새로움을 즐기는 건 어찌보면 가벼운 일이지만, 그 작은 새로움 하나를 만들기 위해선 갖가지 수고가 들어가는데, 이건 결코 즐거운 일이 아닐 수도 있다. 

부정하는 건 쉽고, 긍정하는 건 어렵다. 

이미 경험했던 익숙했던 것은 나도 모르게 호감이 간다. 연예인이 호감이 가는 건 사회적인 실험으로도 증명되었다. 사람은 자신이 반복적으로 마주친 사람에게 호감을 느낀다. 마찬가지로 내가 자주 접하는 일이나 물건들에 대해선 익숙하다는 이유만으로도 호감이 간다. 새로운 것은 익숙하지 않다는 것만으로도 의심을 하기 쉽다. 

생각해본다는 건 어쩌면 순수한 의미는 아닐지도 모른다. 

생각해본다는 말은 단지 이미 머릿속에 떠올라 있는 부정의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찾아보겠다는 말일지도 모른다. 긍정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자료를 찾는 건 내 스스로 이미 확신이 있었을 때 가능하다. 애당초 사람이란게 새로운 일에 긍정하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각의 대부분은 부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기 십상이다. 


'잡문 > 기타 잡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하는 음악의 기준  (0) 2017.09.18
우리는 왜 대학에 가는가 5부  (0) 2017.09.16
성냥갑 아파트의 아름다움  (0) 2017.09.13
저녁 7시부터 저녁 10시 사이  (0) 2017.09.12
생산과 소비  (0) 2017.09.10
Posted by 스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