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다닐 때 읽는 책 
책이 주는 무게감이라는 게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다. 대학교 졸업까지 나의 학창시절 내 어깨를 짓누르던 무게감은 대부분 불투명한 미래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책가방에 짊어진 여러 권의 책이었다. 내 주변에서도 책 좀 좋아하고 읽는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딜 가나 책을 한 두권 씩 들고 다녔는데, 그렇게 들고다니는 책들이 대부분 얇은 시나 에세이보다는 적어도 300페이지는 나가는 책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 무게가 상당했다. 특히 한국에서 나온 책은 두껍기 짝이 없다. 한국 사람들이 애초에 책을 독서의 목적으로 구매하기보단 장식장을 채우려는 목적으로 구매하는 이들도 상당해서 책이 두껍고 예쁘고 무거운 경우가 많았다. 양장판이 그런 책이다. 내가 가장 싫어하는 종류의 책이다. 내 방에도 그런 책이 꽤 있다. 애드거 앨런 포의 소설집이랍시고 대략 1000페이지는 넘는 소설을 한 권에 때려박아 넣고, 멋진 검정색 표지로 마무리한 책이 있다. 솔직히 이런 책은 읽으라고 내놓은 책인지, 아니면 장식하라고 내놓은 책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 

교보문고에서 나온 전자책을 처음 접했을 땐 이게 뭔가 싶었다. 솔직히 조그만 핸드폰 어플을 통해서 책을 보는 것이 내겐 습속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행위였다. 새로운 전자책이 나올 때마다 여러 번 다시 시도해 봤는데, 그 때마다 실패했다. 제대로 된 어플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리디북스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고, 이 정도 완성도면 이젠 전자책을 본격적으로 읽어볼 만 하다고 마음먹게 되었다. 

전자책이 종이책보다 압도적으로 우월한 이유는 그 편리한 이동성에 있다. 내 어깨를 짓누르는 무게가 사라졌다. 

국내든 해외든 예전엔 여행갈 때마다 적어도 1~2권의 책은 꼭 들고 가곤 했다. 여행지에서 책을 다 읽으면 이걸 어떻게 처리하지, 헌책으로 교환해야할까, 고민도 많이했다. 실제로 유명한 여행지에는 좋은 헌책방이 있기 마련이다. 물론 한국어 헌책은 그닥 없다.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아서인지, 영어로 된 원서만 잔뜩 있다. 

근데 전자책이 생기면서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 비행기에서도 눈을 감고 책을 들으면서 갈 수 있다. 멋진 풍경을 보면서 모히또 한잔 마시면서 책을 듣는 것도 가능하다. 여행지 카페에 앉아 타블렛이나 모바일로 책을 읽는 건 기본이다. 물론 읽을 수 있는 책의 수도 제약이 없다. 내게 필요한 건 단지 핸드폰 배터리와 책을 읽고 싶은 의지 뿐이다. 후후후 


Posted by 스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