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으며 집중력 잃지 않기 
요즘 난 책을 읽을 때 쉬운 책 어려운 책 두꺼운 책을 구분해서 읽는다. 두꺼운 책은 보통 1달 정도 여유를 두고 천천히 읽는다. 하루에 10페이지 씩 혹은 5 페이지 씩이라도. 내가 생각하는 두꺼운 책의 기준은 보통 400페이지가 넘는 책이다. 요즘엔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란 책을 읽고 있는데, 후기까지 포함해서 딱 404페이지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쓴 소설 ‘기사단장 죽이기’는 1권 512페이지, 2권 544페이지로 총 천 페이지가 넘는데 이쯤 되면 내 독서력으론 쉽게 거들떠 보기 어려운 난관이다.

두꺼운 책의 최대 문제점은 집중력의 유지가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껏 내가 읽다가 중도에 포기하고 멈춘 소설의 수가 상당하다. 애슐리 반스가 쓴 ‘일론 머스크’, 제러미 시겔이 쓴 ‘주식에 장기투자하라’, 움베르트 에코가 쓴 ‘장미의 이름’, 에번 오스노스가 쓴 ‘야망의 시대’,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런 책들이 그럼 재미가 없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그 반대다. 두꺼운 책은 대부분의 경우 얇은 책보다 재밌을 확률이 더 높다. 아니, 사실은 두꺼운 책을 고를 땐 얇은 책을 고를 때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고민한 뒤에 구매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내가 믿고 신뢰하는 블로거로부터 강력한 추천을 받은 책이거나, 혹은 내가 평소 진짜 관심있는 분야의 책이거나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에번 오스노스의 ‘야망의 시대’ 같은 경우 내가 읽어본 비소설 분야 책 중에선 압도적인 매력을 갖춘 책이었다. 현재까지 반 이상 읽었다는 점이 이걸 증명한다. 일주일 정도 투자해서 천천히 읽긴 했는데, 다른 책 읽는 것에 정신이 나가서 어느 순간 계속 책 읽는게 힘들다고 느꼈다. 두꺼운 책을 읽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건 보통 그런 식이다. 

두꺼운 책보다 더 고통스러운 건 어려운 책 읽는 것이다. “어려운 책”이라는 개념은 물론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이다. 번역이 엉망이라 어려운 책일 수도 있겠고, 내용이 생경해서 어려운 책일 수도 있고, 혹은 전문적인 배경지식이나 개념들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책일 수도 있다. 따라서 난 주관적인 어떤 기준을 세워야 겠다. 일반적으로 다른 책을 읽는 것의 1/2 혹은 1/3 정도밖에 읽는 속도가 안 나가는 책을 난 어려운 책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내 경우엔 오후 1시 쯤 카페에 앉아서 집중해서 소설을 읽으면 보통 1시간에 100페이지 정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조건에 30페이지 혹은 50페이지 정도 밖에 읽지 못할 것 같은 책을 어려운 책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어려운 책의 범주에 속하는 책 역시 읽다 멈춘 것이 많다. 한병철의 ‘피로사회’,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같은 책이 여기에 속한다. 솔직히 말해서 책 좀 좋아한다고 하면 누구나 읽었다고 말하는 ‘죄와 벌’을 아직도 완독 못한게 스스로에게 부끄럽다. 뭔지 모르게 ‘죄와 벌’ 정도는 이미 완독해야 책을 좋아한다고 어디 가서 말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사실 ‘죄와 벌’은 어렵다기 보다는 재미가 없다. 이미 여기저기서 하도 얘기를 많이 들어서 줄거리는 다 아는데, 막상 읽으려고 하니 흥이 나지 않는다. 나중에 읽자, 나중에 읽자 미뤄두다보니 지금까지도 안 읽은 상황에 처한 것이다. 

사실 대학생 땐 두꺼운 책, 어려운 책 가리지 않고 많이 읽었던 것 같다. 오히려 그 당시엔 책 읽는 걸 ‘간지’(멋)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기본도 없는 상태로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 글들을 많이도 읽었다. 그 때 읽었던 가장 어려운 책은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라는 책과 ‘니코마코스 윤리학’ 같은 책이었다. 그 당시엔 나름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었지만, 솔직히 말해서 그 책들이 무슨 내용이었는지 조금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런 주제에 독서가라고 콧대 높이며 지하철을 전전했던 내 스스로를 생각하면 참 부끄럽다. 으악. 


Posted by 스케치*